2010년 4월 27일 화요일

FTP 명령어어

- ascii : 전송모드를 ASCII 모드로 설정한다 (ascii 또는 as)

- binary : 전송모드를 binary 모드로 설정한다. (binary 또는 b)

- bell : 명령어 완료시에 벨소리를 나게 한다.(bell)

- cd : remote 시스템의 디렉토리를 변경한다.

- cdup : remote 시스템에서 한단계 상위디렉토리로 이동한다(cdup)

- chmod : remote 시스템의 퍼미션을 변경한다(chmod 123 index.htm)

- close : ftp 접속을 종료한다.

- delete : remote 시스템의 파일을 삭제한다.(delete duck2.txt)

- dir : remote 시스템의 디렉토리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 disconnect : ftp를 종료한다.

- exit : ftp를 종료하고 빠져나간다.

- get : 지정된 파일 하나를 가져온다.

- hash : 파일전송 도중에 "#" 표시를 하여 전송 중임을 표시한다.(진행 중이라는 것을 표현한다.)

- help : ftp 명령어 도움말을 볼 수 있다.

- lcd : local 시스템의 디렉토리를 변경한다. (lcd 디렉토리명)

- ls : remote 시스템의 디렉토리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 mdelete : 여러 개의 파일을 한 꺼번에 삭제 할 때 사용한다.

- mget : 여러 개의 파일을 한 꺼번에 가져오려 할 때 사용한다.

- mput : 여러 개의 파일을 한 꺼번에 올리려고 할 때 사용한다.

- open : ftp 접속을 시도한다. ( open 192.168.100.231 또는 open ftp.storage.co.kr)

- prompt : 파일 전송시에 확인 과정을 거친다. on/off 토글

- pwd : remote 시스템의 현재 작업디렉토리를 표시한다.

- quit : ftp 접속을 종료하고 빠져나간다.

- rmdir :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마운트

(1) 파일시스템(하드디스크) 마운트

먼저 파일시스템에 대한 마운트를 알아보자. 파일시스템이라하면 하드디스크 파티션의 사용환경, 즉 파티션 포맷의 종류라고 보면

되겠다. 어떤 포맷을 사용한 파티션이냐에 따라 마운트하는 옵션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현재 마운트하고자 하는 파티션의 포맷 상태를 잘

확인해 두어야 한다. 최근에는 그냥 마운트 명령만을 사용해도 포맷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마운트가 이루어지는 추세이지만,

포맷별 마운트 옵션을 알아두면 추후에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아래 예제를 보면서 하나씩 확인해 보도록 하자.

# mount /dev/hda1 /mnt/win ; 가장 일반적인 마운트 명령이다. 별다른 옵션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리눅스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체크하여 마운트를 수행한다. 하드디스크의 가장 첫번째 파티션(hda1)에 Windows를 설치하였다면, /mnt 디렉터리 아래에

win이라는 디렉터리를 만들고 여기에 마운트를 걸어주면 된다.

# mount -t vfat /dev/hda1 /mnt/win98 ( 언마운트 => # umount /mnt/win98 )
; Windows가 설치된 파티션이 FAT 방식으로 포맷되어 있는 경우 사용한다. FAT, FAT16, FAT32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이들을 통칭해서 vfat이라는 명칭으로 사용한다.

# mount -t ntfs /dev/hda2 /mnt/winxp ( 언마운트 => # umount /mnt/winxp )
; Windows가 설치된 파티션이 NTFS 방식으로 포맷되어 있는 경우 사용한다. NTFS의 경우 아직 리눅스에서 완벽히 호환이 되지는 않는

다. 그러므로 읽기(Read)로만 활용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쓰기(Write)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 부분은 다시 다루도록 하자.

# mount -t msdos /dev/hda1 /mnt/dos
; Windows가 아닌 DOS를 설치하였다면 이 옵션을 사용하자. 아직도 DOS를 사용하는 사람은 없으리라 생각되지만 적어 보았다.

# mount -t ext3 /dev/hda3 /mnt/linux
; Linux가 설치된 파티션을 마운트할때 사용한다. 리눅스에서는 ext2, ext3, xfs, jfs, vfs, reiserfs 등 다양한 파일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파일스스템(포맷)이 ext3이다. 이런 ext3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할때 위와 같은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 mount -t vfat /dev/sda1 /mnt/usb ; usb 장치인식, 우선 mnt 폴더안에 usb 폴더를 생성해줘야 한다.


(2) 주변장치 마운트 - CD-ROM, Tape 장치, Floppy디스크 등 다양한 주변장치를 마운트할 수 있다.


# mount /dev/cdrom ; CD-ROM을 마운트할때 사용하는 명령이다. 위에서 보면 마운트할 위치는 따로 지정을 하지 않았는데,

이는 설치시 CD-ROM과 같은 장치는 이미 /etc/fstab과 같은 마운트 설정 파일에 자동으로 인식이 되어 있으므로, 마운트 명령을 길게

사용하지 않더라도(생략하더라도) 마운트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 mount /dev/cdrom /mnt/cdrom ( 언마운트 => # umount /mnt/cdrom )
; CD-ROM 마운트 명령을 생략하지 않고, 모두다 사용해 준다면 위와 같은 명령이 될 것이다.

# mount /dev/fd0 /mnt/floppy ( 언마운트 => # umount /mnt/floppy )
; 플로피디스크는 fd0라는 장치명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장치명을 사용하여 마운트를 시킬 수 있다.

# mount /dev/st0 /mnt/tape ( 언마운트 => # umount /mnt/tape )
; 서버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주기적인 백업을 수행하는데, 예전부터 많이 사용되어온 테이프 장치로 백업하기 위해서는 테이프 장치를

위와 같은 명령으로 마운트해 주어야 한다.


(3) ISO 이미지 마운트 -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ISO 이미지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마운트를 해주면 된다.

=======================================================================
# mount -t iso9660 -o loop /root/OpenEdition30/HLOE30_disc1.iso /mnt/iso
=======================================================================

ISO 이미지 파일 생성 및 사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리눅스가산다에 올려진 내용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자.
( http://www.haansoftlinux.com/magazine/magazineView.php?no=996&page=0&catalog=1 )

(4) Samba 마운트 - Samba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파일공유 서버를 Samba 마운트 기능으로 연결할 수 있다. Windows에서 보는

"네트워크 공유"에 해당하는 것으로 Samba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공유디렉터리는 모두 마운트할 수 있다.

================================================================================
# smbmount //192.168.0.1/linux /mnt/smb

# mount -t smbfs -o username=root //192.168.0.1/linux /mnt/smb

# mount -t smbfs -o username=root,password=gksrmfrhkzjavbxj,workgroup=haansoft

//192.168.0.1/linux /mnt/smb
================================================================================

Samba 마운트 방식은 기존 마운트와 동일하며, -t(Type) 옵션에 smbfs(samba-filesystem)을 명시하고, -o 옵션에 연결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ID,Password, 공유그룹 등)을 입력하게 된다. 패스워드의 경우 보안상 바로 기록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명령에서

패스워드를 명시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에서 자동으로 패스워드를 물어오므로 이때 입력하는 것이 좋다.

마운트 대상을 기록하는 부분에는 공유호스트명(또는 IP)과 공유디렉터리명을 순서대로 입력한다.


(5) NTFS 마운트 고급옵션

앞서 잠깐 말했듯이 NTFS 파일시스템의 경우, 마운트 및 사용에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아래의 내용을 통해서 다시 확인해 보도록 하자.

============================================================================================
# mount /dev/hda1 /mnt/hda1 -t ntfs -r -o umask=0222,uid=xxx ( 언마운트 => # umount /mnt/hda1 )
============================================================================================

[설명]

-t ntfs: 파일 시스템 종류가 ntfs 라는 것을 명시함
-r: 읽기 전용. ntfs는 Microsoft가 아직 스펙을 발표(공개) 하지않아 쓰기 기능은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음.
-o: 옵션
umask=0222: 읽기 전용과 관련된 명령어.
uid: xxx 에 실제 사용자 아이디 적는다. 이걸 적지 않으면 root 에서만 읽기 가능.

※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하기 위해서는 /etc/fstab 파일을 편집기(vi 추천)로 열어서 마지막에 다음 한 줄을 기록한다.
/dev/hda1 /mnt/hda1 ntfs ro,umask=0222,uid=xxx 0 0 ;파티션 명칭과 uid 등은 적절히 수정해서 사용한다.


2010년 4월 1일 목요일

리눅스 CHM 파일 뷰어 gnochm

http://dag.wieers.com/rpm/packages/gnochm/

에서 다운받아 설치 하면됨~